진주시 순자산 1조1000억 원 이상 증가

2025-04-01     최하늘 기자

민선 7기 출범 이후 진주시의 순자산이 1조 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규일 시장 취임 이후 각종 생활밀착형 인프라를 확충하고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을 해소하는 등 적극적인 재정 운용이 성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1일 진주시에 따르면 2023회계연도 결산 기준 총자산은 7조 6197억 원으로, 지난 2018년 6조 7224억 원 대비 8973억 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부채는 4020억 원에서 1512억 원으로 줄어 2508억 원 감소했다. 이에 따라 진주시 순자산은 2018년 대비 1조 1481억 원 증가했다.

시는 “이번 자산 증가는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각종 공공시설 확충이 이끈 결과”라며 “생활 여건 개선과 도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전방위적 노력이 수치로 나타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표적인 인프라 확충 사례로는 상평산단 혁신지원센터와 진주 K-기업가정신센터를 비롯해 남강유등전시관, 소망진산 유등공원, 월아산 숲속의 진주, 진양호 우드랜드 등이 있다.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물놀이공원, 바닥분수, 남부 어린이도서관 외에도 내년에는 성북동 아동복지센터와 동부시립도서관이 개관을 앞두고 있다.

농업 분야에서는 농기계임대사업소 3곳, 두메실 농업테마파크, 먹거리통합지원센터 등이 조성됐다. 복지시설로는 장애인문화체육센터, 홍락원, 파크골프장 등이 들어섰고, 안락공원 현대화사업도 마무리 단계다. 주차장 신설, 자전거도로 확충 등도 병행되며 교통 편의성도 높였다.

시민들의 이용률도 눈에 띈다. 진주 K-기업가정신센터는 지난 2022년 개관 이후 누적 방문객이 18만 명을 넘었고, 월아산 숲속의 진주는 올해에만 35만 명이 찾았다. 시는 외지 관광객 유치로 지역경제 파급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이 같은 성과의 배경에는 정부 공모사업을 통한 국·도비 확보가 있었다. 진주시는 지난 7년간 총 314건, 3765억 원 규모의 공모사업에 선정되며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했다.

특히 시는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 해소에 집중했다. 1999년 헌법재판소 판결에 따라 2020년부터 도시계획시설이 실효되기 시작하면서, 시는 사유화 방지를 위한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전체 매입에 약 8500억 원이 필요한 가운데 지금까지 6600억 원을 투입했고, 나머지 1800억 원도 연차적으로 확보해 나갈 방침이다.

이미 확보된 부지는 가좌산, 망진산, 선학산, 비봉산, 진양호공원 등 시민 이용 빈도가 높은 산책로와 공원들이다. 시는 해당 부지에 유등테마공원, 비거테마공원, 진양호 르네상스 사업 등을 조성해 도시 경관을 개선하고 시민 여가공간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옛 진주역 사거리 광장을 포함해 도시 내 주요 도로망도 정비했다. 말티고개장재, 명석집현, 경상대내동, 초전대곡 등 교통 정체 구간 도로 확장을 통해 이동 편의성을 높였다.

시 관계자는 “자산 증가는 단순한 수치가 아니라, 시민 생활을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기반 마련”이라며 “결산 후 발생한 순세계잉여금도 단순 적립이 아닌 시민 행복과 도시 발전을 위한 동력으로 적극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