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진주시의회는 LH 데이터센터의 관외 이전 신설 계획에 대한 반대와 진주시 내 확장 방안을 촉구하는 건의안을 발의했다. 이와 관련해 데이터센터 산업의 현황과 진주시의 입장을 둘러싼 몇 가지 오해와 진실을 짚어보겠다.
첫째, LH의 데이터센터 이전 계획은 진주시와의 충분한 협의 없이 추진되고 있으며, 이는 지방분권과 균형발전 정책에 반하는 행위로 비판받고 있다.
공공기관의 주요 시설 이전은 지역사회와의 소통과 협력이 필수적이다. 진주시는 혁신도시로서 그 가치를 지키기 위해 데이터센터가 지역 내에서 확장될 수 있도록 LH와의 적극적인 협의가 필요하다. 이에 더해, 다른 지역의 데이터센터 이전 계획이 용역으로 추진됐고 지역사회가 반발이 없었던 사실이 역설적으로 문제라고 생각한다.
혁신도시 설치가 대통령의 공약에서부터 법제화로부터의 시작이 아니라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주요 정책의 하나로 시작됐다는 점을 고려하면, 지금의 LH 데이터센터의 지역내 확장이전을 위한 목소리를 내는 것이야 말로 지역이기주의가 아닌 지역균형발전의 포석이라고 생각한다.
둘째, 진주시의회는 지역 경제와 일자리 창출 측면과 지속가능성 확대 등 다방면으로 LH 관외 데이터센터 신설 계획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제2데이터센터가 확장성을 가진 부지에 건설되면 결국 그곳이 주데이터센터가 되는 것이며 우리 진주시의회의 발언은 재난 안전 분야의 제2데이터센터를 관외에 건설하고 지금 시설이 부족한 본사의 데이터센터를 확장해서 장기적인 데이터센터 수요에 대응하자는 것이다.
막무가내로 데이터센터 신설 자체를 막자는 것이 아니며, 이러한 점을 함께 협의를 통해 진행하자는 것이다. LH 데이터센터가 진주시 관내에 확장될 경우, 관련 IT 기업과 장비업체를 유치할 수 있으며, 전후방 연관 산업이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역 대학과 연계하여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진주의 경제적 기회가 대폭 확대될 수 있다.
셋째, 수도권의 데이터센터의 지방 분산화 추진 정책은 진주시의 새로운 기회이자 미래먹거리 산업이다. 많은 이들이 데이터센터가 대규모 수도권에 집중돼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지방 분산화가 국가 전략 차원으로 추진되고 있다. 정부는 데이터센터의 수도권 과밀화를 완화하고, 지역 균형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비수도권 데이터센터에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대규모 데이터센터 클러스터를 소양강댐 심층수를 활용해 착공할 춘천, 카카오가 구축될 전라남도 장성, Microsoft를 유치한 충청북도 등을 살펴 볼 때, 데이터센터의 구축에는 고성능 정보시스템과 친환경 에너지 활용이 중요하다. 현대차증권의 보고서에 따르면, 데이터센터는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해 친환경 에너지 사용과 고효율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다. 진주시는 이러한 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인프라가 이미 마련돼 있으며, 추가적인 확장 계획이 이뤄진다면 환경적, 기술적 요구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LH 데이터센터의 확장과 연계해 데이터센터 산업단지 조성 적극 추진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두 마리 토끼 모두 잡기를 기대한다.